주요 내용 보기
메뉴

연금루(리엔진러우)

글자 크기:
작게
중간
크게
:::

.

일제시대의 연금루는 한때 금을 보관하던 장소이며 또한 “진과스 여관”이였던 곳이다. 세계2차대전 이후 대만금속광업주식유한회사(타이진회사)가 준비하던 시기에 연금공장으로 잠시 하다가 나중에는 연금 공장이 쉐이난동으로 이전하자 연금루는 다른 용도로 바뀌었다.

연금루는 2층 벽돌로 지어진 건축물로 1층 정문의 우측에는 타이진회사의 복지사 사무실, 관리구장, 영화관, 공급사, 도서관, 식당, 미용실 등 복지시설이 있었다. 이후 토지은행 지룽(대만북부에 있는 항구 도시)기점의 임시 대리사무소로 바뀌었고 타이진회사의 출납부서도 역시 단기간 내에 이전하여 광구 직원 월급을 지급하던 곳이다. 1층 좌측에는 타이진회사의 노조 사무실이 있었고, 2층에는 국민당 당부 안전실이 있었다.

이 건물은 일찍이 금을 수장하고 연금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황금박물관 개관 후 바로 “연금루”라고 명명하였다. 연금루의 2층 밖, 꼭대기 장식의 글자(GC)의 의미가 불분명하여 금동(Gold、Copper)의 약자로 추정된다, 입면의 스크래치 타일벽돌들이 목조 숙소를 둘러싼 진과스 취락 가운데 그 모습이 유달리 특이해 보인다.

연금루의 1층 우측은 소형 특별 전시실로서 그 시기의 주제에 맞는 특별 전시를 내놓는다. 1층 좌측은 연금극장 공관이며”금상의산성세월 金桑的山城歲月”을 상영하며 옛 광업 채굴 시기, 수금구광산이 취락 삶의 모습을 소개한다. 연금 극장 내에는 연금유적지구의 옛날 연금의 세월을 증명하여 보여준다. 2층도 역시 상설전시실로서 멀티미디어 상호 체험을 통해 사람들에게 “하천에서 금을 캐는”즐거움을 제공한다. 꼭대기 층의 전망대에선 지룽산, 차호산, 본산, 진과스 취락의 경관이 한눈에 다 들어오며 사람들의 참관 안전의 이유로 꼭대기 층의 공간은 잠시 개방하지 않는다.

TOP